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정일근 시인의 <그륵>

산 그늘이 되는 나무 2012. 8. 23. 21:19

경상도 사람이라면

어머니, 그 어머니로부터 그렇게 듣고 배웠을 것이다.

그륵이라고.

사실은 ㅓ와 ㅡ의 구별이 없으므로,

거럭이라고, 해서 딱히 틀린 것도 아니다.

다만 서울말에 그릇이란 말이 있기에 그저 그륵이라 쓸 뿐이다.

그런 그륵을 정일근 시인이 한 편의 시로 읊어놓았다.

그륵, 표준어와의 미묘한 그 차이는 곧잘 무식으로 통하기 마련이지만,

경상도 사람이라면, 그저 그륵일 뿐이다.

무언가 달그락 거리는 소리가 같이 묻어난다, 그륵에는.

시인이 그륵에서 본 것이 사랑과 사람의 역사였다면,

나는 그 그륵에서 적당한 무게와 질감, 소리를 느낀다.

모국어의 그륵에는 정지간에서 느낄 수 있는, 그래서 간단치 않은 삶의 숨결이 있는 법이다.

 

 

어머니의 그륵/정일근

 

어머니는 그륵이라 쓰고 읽으신다
그륵이 아니라 그릇이 바른 말이지만
어머니에게 그릇은 그륵이다
물을 담아 오신 어머니의 그륵을 앞에 두고
그륵, 그륵 중얼거려보면
그륵에 담긴 물이 편안한 수평을 찾고
어머니의 그륵에 담겨졌던 모든 것들이
사람의 체온처럼 따뜻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학교에서 그릇이라 배웠지만
어머니는 인생을 통해 그륵이라 배웠다
그래서 내가 담는 한 그륵의 물과
어머니가 담는 한 그륵의 물은 다르다
말 하나가 살아남아 빛나기 위해서는
말과 하나가 되는 사랑이 있어야 하는데
어머니는 어머니의 삶을 통해 말을 만드셨고
나는 사전을 통해 쉽게 말을 찾았다
무릇 시인이라면 하찮은 것들의 이름이라도
뜨겁게 살아있도록 불러주어야 하는데
두툼한 개정판 국어사전을 자랑처럼 옆에 두고
서정시를 쓰는 내가 부끄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