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을 읽으며 시종 궁금했던 것은,
부처님 당시 혹은 세후 500년 이후의 결집시기에도,
언어의 수준이란 문화나 문명의 수준에 근거한다는 점일진데,
요즈음의 문명언어로 이해할 것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었다.
한자 아닐 비(非)의 상형은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있는 형상이다.
(혹은 새가 날개짓으로 떠나는 형상이다.)
'아니다'라는 것은 뜻이 격의된 것으로 보여지고,
종래의 뜻은 떠나다, 여의다, 등지다, 돌아서다 정도일 것이다.
또한 동사(動詞)로 해석해 봄 직하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몸의 형상(身相)이 있는 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이런 상을 깨닫고, 그 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바로 그것이 여래를 깨닫는 것이다.
필멸의 존재로서 인간형상을 잘 보고,
그 필멸의 허망함, 그런 필멸이라는 명사(名詞)로서의 념(念)의 허망함을 깨닫고,
그러한 필멸의 연원을 벗어나서 실천하고 수행하는 동사(動詞)로서의 념(念)을 깨닫는다면,
곧 부처를 보리라는 뜻일진데.
'상이 아님을, 곧 아닌 상을'과 같이 비(非)를 상(相)의 수식어로 본다면
요즈음의 언어로서 이해하는 것이 곤란할 지도 모른다.
비(非)를 '아닌'이 아니라 '등지다', '떠나다', '여의다'에서 더 나아가
'벗어나다', '넘어서다'까지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것도 한 방편이러니.
(흔히 여의다는 한자 離의 번역어로 채택된다. 이때에는 떼어내어 거리를 두게한다는 뜻으로
등지게 되어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새의 두 날개가 붙어있고 등진 두사람 역시 붙어 있다.)
그것이 구마라집의 번역 당시의 고민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해서, 이런 해석이 실천불교로서 그리고 자비행(보시행)의 불교로서의 해석에 더 맞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 내 맘대로 읽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맘대로 읽는 금강경 (0) (0) | 2021.04.11 |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톺아 읽기 (1) (0) | 2021.04.02 |
열 가지 현묘한 말씀 十玄談 중에서 - 색을 지나쳤으면 다시 색의 자리로 돌아가지 마라! (0) | 2020.06.07 |
아함경 - 술은 게으름의 원인이며 지혜의 힘이 약해지는 과오가 생긴다 (0) | 2020.03.24 |
임제종풍, 지소화상 찬, 정석태 역 - 그 당시 그 가르침을 내리신 곳에서 살펴보라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