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 그늘 아래에서/내 맘대로 읽는 금강경

금강경 한 구절......아닐 비(非)의 해석과 관련하여

산 그늘이 되는 나무 2020. 1. 31. 13:18

금강경을 읽으며 시종 궁금했던 것은,

부처님 당시 혹은 세후 500년 이후의 결집시기에도,

언어의 수준이란 문화나 문명의 수준에 근거한다는 점일진데,

요즈음의 문명언어로 이해할 것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었다.

 

한자 아닐 비(非)의 상형은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있는 형상이다.

(혹은 새가 날개짓으로 떠나는 형상이다.)

'아니다'라는 것은 뜻이 격의된 것으로 보여지고,

종래의 뜻은 떠나다, 여의다, 등지다, 돌아서다 정도일 것이다.

또한 동사(動詞)로 해석해 봄 직하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몸의 형상(身相)이 있는 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이런 상을 깨닫고, 그 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바로 그것이 여래를 깨닫는 것이다.

필멸의 존재로서 인간형상을 잘 보고,

그 필멸의 허망함, 그런 필멸이라는 명사(名詞)로서의 념(念)의 허망함을 깨닫고,

그러한 필멸의 연원을 벗어나서 실천하고 수행하는 동사(動詞)로서의 념(念)을 깨닫는다면,

곧 부처를 보리라는 뜻일진데.

 

'상이 아님을, 곧 아닌 상을'과 같이 비(非)를 상(相)의 수식어로 본다면

요즈음의 언어로서 이해하는 것이 곤란할 지도 모른다.

 

비(非)를 '아닌'이 아니라 '등지다', '떠나다', '여의다'에서 더 나아가

'벗어나다', '넘어서다'까지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것도 한 방편이러니.

 

(흔히 여의다는 한자 離의 번역어로 채택된다. 이때에는 떼어내어 거리를 두게한다는 뜻으로

등지게 되어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새의 두 날개가 붙어있고 등진 두사람 역시 붙어 있다.)

 

그것이 구마라집의 번역 당시의 고민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해서, 이런 해석이 실천불교로서 그리고 자비행(보시행)의 불교로서의 해석에 더 맞다는 생각을 하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