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대학(大學) - 유교 교육론, 그 첫머리에서

산 그늘이 되는 나무 2022. 3. 7. 20:01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

 

사회인이 되기 위한 교육의 목표는 

(본디 인간의 성품은 곧은 마음으로 깨끗하니) 그 깨끗한 마음이 나타나게 깨끗이 하는데 있는 것으로,

이웃들과는 사이를 새롭게하고,

(인간의 본성인) 지극한 선함을 향해 나아가 다다르게 (인간의 본디 선함을 깨닫게) 하는 데 있다.

 

知止而后 有定 定而后 能靜 靜而后 能安 安而后 能慮 慮而后 能得

 

다다른 연후에야 방향을 정할 수 있고, 정한 연후에야 마음의 고요함이 있고,

마음이 고요한 연후에야 편안함이 있고, 편안한 연후에야 능히 주변을 살필 수 있어,

그러한 주변에 대한 배려의 연후에야 교육이 완성된다.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무릇 사물에는 본디와 줄기가 있고, 일에는 마무리와 처음이 있어

그중 무엇이 먼저이고 뒷일인지를 알게 하는 것이 교육의 다다름이다.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在格物

 

옛부터 선한 본성을 드러내어 사회인이 되고자 한다면,

먼저 그 큰 터울과 자연스레 어울리고,

큰 터울과 어울리고자들면, 도반들을 가지런히 해야하며,

도반들을 가지런히 하자면 스스로 연습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했다.

 

스스로 연습하고 실행한다는 것은

먼저 그 본성적으로 선한 마음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자면 그 뜻을 지극히 하며,

뜻을 지극히 하자면 먼저 앎에 이르러야 하기에,

앎에 이르자면 사물에 부딪혀보고 이를 연습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物格而后 知至 知至而后 意誠 意誠而后 心正 心正而后 身修 身修而后 家齊 家齊而后 國治 國治而后 天下平

 

사물에 (부딪혀 연습하고 실행하여) 법칙을 이해한 이후에야 앎(세계의 운동법칙)에 이르게 되니

이러한 앎의 연후에야 뜻이 지극해지고

뜻히 지극한 연후에야 마음을 바르게 가질 수 있으며 

마음을 바르게 한 연후에야 스스로 연습과 실행을 한다.

이러한 스스로의 연습과 실행을 통해  도반들을 가지런히 하고 그 연후에 큰 터울에 자연스레 어울릴 수 있으며 

큰 터울과 자연스레 어울려야만 비로소 세상이 넓어진다.

 

自天子 以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爲本

 

(하늘의 천명을 받았다는 사람이나 허튼 보통사람까지 ) 잘났거나 못났거나 인간이라면

(선한 본성이 나타나도록) 스스로 연습하고 실행함을 본바탕으로 삼아야 하며,

 

其本亂而末治者否矣 其所厚者薄 而其所薄者厚 未之有也

 

그 근본이 혼란하여 (선후를 가리지 못하면) 곁가지와  자연스레 어울리기는 어렵다.

(선한 본성이 나타나면) 두터워야 할 곳은 얇아지고, 얇아도 될 곳은 두터워지는 일은 있지 아니하다.

 

此爲知本 此爲知之至也.

이것이 그 본디의 (인간의 선한) 바탕을 알게하는 것이고, (인간의 선한) 본성에 다다름을 안다는 것이다. 

 

* 治라는 글자는 어렵다. 물줄기를 자연스레하여 다스린다는 뜻까지 가 있는 모양인데 그 의미가 쉽지 않다.

  그냥 어울린다고 옮기는 것이 차라리 좋을 것 같다.

   民과 國은 정치적 해석이 가능하기에 중세 봉건시대의 이데올로기가 깔려있다.

   家는 예전이라면 경제적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돼지치고 집을 건사하는 것이므로.

   

** 格은 각기 잘 자란 나무의 모양이니   두루 가지를 뻗어 미친다는 뜻일 수 있다. 

    사물에 대한-대응하여- 연습과 실행을 통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일컫는다고 보았다.

     중국의 바이두에서는 意思是探究万物的规律,格“规律”之意。出自《礼记·大学》:“致知在格物,物格而后知至。”

     사물의 규율, 格을 規律의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곧 사물의 운동법칙-시스템, 이치말한다.

     앎이란 곧 사물의 이치를 아는 데 있고, 사물이 이치를 깨우친 이후에야 본디를 알 수 있게 된다.

     그 이치를 깨닫자면 修, 스스로의 연습과 실행이 필요함을 간과하면 아니된다.

 

***이러한 고대 중국의 교육관은 일견 근대의 교육관과 상통해보이기는 하나

    중세적 세계관으로 인간에게 선함이 주어져있다는, 지배계급이 인간을 통치하기 위한

    (선한-저항하지 않는-인간이 통치하기 좋은, 또 지배계급의 시각에서 악한 인간은 격리시키고자 하는)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

      

    修라는 글자에 치중하여 인간 본성-그것이 어떻든 간에-의 선함을 닦아 그 선함이 나타나도록 

    (몽둥이를 들고 사람을 등짝을 때려 피가 날 때까지)

    연습과 실행에 무게를 둔다면 그나마 이런 왜곡을 조금은 걷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