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숙종조 남구만이란 이가 쓴 시조이다.
나로서는 그가 조선인의 삶에 어떤 기여를 하였는지는 알지 못한다.
하여, 그의 시조가 교과서에 실린 연유도 알지 못한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희놈은 상긔아니 일었느냐
뒷 뫼에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하나니.
철저하게 양반의 입장에서 종놈의 게으름을 탓하는 내용이다.
새벽녘이 어느새 밝아 종다리가 우짖는데,
소치는 아이 놈은 아직도 일어나지 않았구나
고개 너머 이랑 기다란 밭은 언제 갈려고 하느냐, 는 내용이다.
여기에 당파싸움을 비틀어 보여주고 있다는 민초의 삶과 괴리된 설명이나,
전원생활(?)의 평화로움(?)을 보여주고 있다는 교과서적 설명은
다분히 양반네들의 자기만족이나 당대의 현실을 왜곡한 데 불과하다.
소를 꼴 먹이고도 모자라
고개 너머의 마름들의 밭까지 갈아야 하는
처절한 아동착취와 노동 착취가 보여질 뿐이다, 이 시조는.
'놈'이란 표현에서 이러한 양반들의 세계관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일부 인용에서는 '놈'자 마저 빠져있어 왜곡에 일조한다.)
문전옥답은 아마도 어른 종놈의 몫일 터이고,
(부모는 벌써 논을 써레질하고 있을지 모른다. )
고개 너머의 마름들의 세경 밭은 아이 종놈의 몫일 터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조는 군더더기 없이 '사실적'이며,
착취당하고 닦달당하는 민초들의 서글픈 새벽을 보여주는 내용이다.
고개 너머의 밭두렁까지 챙겨내는 양반들의 욕심과 서슬이
이 시조에서는 무서우리만치 고스란히 보여진다.
이리 가슴 아린 시조를 잘못 읽히는 데에는
양반들의 세계관이 지배계급의 세계관으로 굳은 데 있을 것이다.
(간단하다, 저런 노래?를 통하여 누가 이득을 얻고 있는가를 보면 된다!)
현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몰노동적으로 이해하는.
누군들 노동의 자리에서 자유로울 자가 있겠는가,
한국의 현실이 저 상황에서 어느 정도 나아졌는가는 여전한 의문이다.
'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강대국 흥망사 , 킨들버그 - (1) 노쇠기에는 미신적이고 폭군적이다 (0) | 2022.03.15 |
---|---|
대학(大學) - 유교 교육론, 그 첫머리에서 (0) | 2022.03.07 |
식물도시 에도의 탄생, 이나가키 히데히로 - 벼농사의 특징이 일본의 과밀함과 내향적인 국민성을 낳았다 (0) | 2021.08.17 |
탈근대군주론, 존 산본마쓰 지음 - 대중의 아편은 종교가 아니라 소비주의이다. (0) | 2021.06.16 |
페르낭 부르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I-1 : 일상사는 반복되면서 구조가 된다.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