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38경 갈애의 소멸 경(Mahātaṇhāsaṅkhaya Sutta)
"Katamesa, bhikkhave, dukkhassa samudayo? Yāyaṃ taṇhā ponobbhavikā nandirāgasahagatā tatratatrābhinandinī, seyyathīdaṃ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일어남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재생 (再生-윤회(輪廻) 을 가져오고 즐거움과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환희하는 갈애이니, 곧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애, 존재에 대한 갈애, 비존재에 대한 갈애이다."
맛지마 니까야 16경 마음의 오염 경(Cittavinibbhoga Sutta)
"Idha, bhikkhave, ariyasāvako adosañcetaṃ cittaṃ adosañcetaṃ cittaṃ pajānāti, sadosañcetaṃ cittaṃ sadosañcetaṃ cittaṃ pajānāti..."
"비구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성냄 없는 마음은 성냄 없는 마음이라고 있는 그대로 알고, 성내는 마음은 성내는 마음이라고 있는 그대로 안다..."
맛지마 니까야 9경 바른 견해 경(Sammādiṭṭhi Sutta)
"Avijjāsamphuṭṭhassa kho, āvuso, sattassa ayoniso manasikāro pahoti. Ayoniso manasikārānupatitā ca micchādiṭṭhi pahoti..."
"벗들이여, 무명에 덮인 존재에게서는 옳지 못한 생각(ayoniso manasikāra)이 생겨난다. 옳지 못한 생각을 따르면 **잘못된 견해(micchādiṭṭhi)*가 생겨난다..."
* 무명 avijjā: 상윳따 니까야 15:3 아나마따가 삼윳따(Anamatagga Saṃyutta)
윤회의 시작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원인으로서의 avijjā (무명)
'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르주아 전, 피터 게이 지음, 고유령 옮김 - 빅토리아인이 따르고자 했던 모습은 가족과 사회, 국가라는 주어진, 그러나 기꺼이 납득할 수 있는 틀 내부에서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자유로운 개인의 그것이었다. (1) | 2025.05.04 |
---|---|
불가의 한 마디 - 연기 緣起 (0) | 2025.04.17 |
불가의 한 마디 - 계정혜, 8정도 (0) | 2025.04.14 |
불가의 한 마디 - 공부 '짓다' (0) | 2025.04.14 |
동파(東坡) 소식(蘇軾) - 동란이화(東欄梨花)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