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63

아이제이아 벌린 - 낭만주의의 뿌리 (Ch.4) 인간, 적어도 그의 전부는 자연의 일부가 아니다

Ch.4. 억제된 낭만주의자들 칸트는 과학의 신봉자였다. 그는 엄격하며 극도로 명징한 정신의 소유자로, 쉽게 이해하기 힘든 글을 썼으나, 모호하게 쓴 적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그가 어떤 점에서든 낭만주의자들의 아버지라면, 이는 과학의 비판자로서도 아니고 당연히 과학자 자신 (그는 우주론자였다)으로서도 아니니, 이는 명확히 그의 도덕 철학에 의한 것이다. 그가 자라난 독일 경건주의적 배경은 그를 열광적인 자기성찰로 이끈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이고 도덕적인 삶에 열렬히 몰두하게 했다. 칸트는 사실 인간의 자유라는 관념에 경도되어 있었다. (114쪽) 다른 자연의 대상물이 인과법칙 아래 놓여 미리 결정된 인과관계의 도식을 엄격히 따르는 데 반해, 인간은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하며, 이것, 자유..

아이제이아 벌린 - 낭만주의의 뿌리 (Ch.3) 황혼이 오면 천재는 등불을 들어 불을 밝힌다

Ch.3. 낭만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들 18세기 과학이 위대한 승리를 거둔 시기에, 인간의 감성에 일어난 가장 근본적인 혁명은 낡은 형식들이 파괴된 것에 따른 결과, 즉, 기성종교는 조직화된 자연과학에 의해, 중세의 낡은 신분질서는 새롭게 등장한 세속국가에 의해 양쪽으로 공격을 받은 결과였다. 이와 동시에 합리주의는 극단으로 나아갔고, 가로막힌 인간의 감정은 으레 그렇듯이 다른방향에서 분출구를 찾았다. 올림푸스의 신들이 지나치게 유순해지고, 지나치게 합리적이고도 건전해지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더 어둡고 신비한 신들에게 끌리기 시작한다. (79쪽) 하만에게는, 신은 기하학자도 수학자도 아닌 바로 시인이며, 신을 억지로 우리의 연약하고 인간적이고 논리적인 체계 안에 끼워맞추려는 시도는 신성모독에 가까운 것이..

아이제이아 벌린 - 낭만주의의 뿌리 (Ch.1, Ch.2) 관념이 관념을 낳지는 않는다

Ch.1. 낭만주의의 정의를 찾아서 낭만주의의 중요성은 이것이 서구 세계의 삶과 사고를 근본적(이것을 통해 자연과 삶이 설명될 수 있는)으로 바꾼...... 비단 사상사 뿐 아니라 의식과 태도와 활동의 역사, 또 윤리와 정치와 미학의 역사는 거의 대부분 지배적인 모형의 역사 (관념의 집합)다..... 무비판적으로 고전을 읽는 것만으로는 알 수 없는 더 커다란 변화가 인간의식의 역사에서 일어나 왔음을...... 당대의 상상력에 엄청난 지배력을 미치고, 그 결과가 다른 영역에까지도..... 낭만주의 운동이 그처럼 거대하고 급진적인 변혁이었으며.... 영원불변한 심성구조로서의 낭만주의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일어나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변혁....(16쪽) 어쨌든 관념이 관념을 낳지는 않는 법이다. 어..

다카시 후지타니-화려한 군주 : 만들어진 일왕, 신으로 환치된 종교

다카시 후지타니-화려한 군주 근대 국민문화의 발명을 대중 내셔널리즘의 형성기와 제국주의의 절정기 안에 자리매김시킨 에릭 홉스봄과 테렌스 레인지의 <전통의 발명>은 이제 국민문화 생산에 관한 그런 시각을 꽤 유명하게 만들었다. (서문에서) 이제껏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온 ..

쓰루미 요시유키 - 해삼의 눈 - 역사의 수정은 걸으면서 생각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렇게 해서 해삼 산업은 피지의 생태 환경을 파괴했을 뿐 아니라 인종적 혼란과 정치적 긴장을 낳았다. 그런 사실을 알리 없는 중국인은 홍샤오 하이선 (紅燒海蔘)과 촨쟈푸(全家福) 등에 입맛을 다시고, 해삼요리를 먹지 않는 피지 주민들은 해삼 가공에 땀을 흘렸다.' (90쪽) 저자가 다..

시라카와 시즈카 - 문자강화 - 신과의 교감 수단으로서의 문자

'한자의 두 가지 조형법에는..... 극도의 단순화와 선조화(線條化)에 의한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표현법.... 다른 하나는 그 선에 의한 표현이 뒷날 서법의 원천으로 되어 선에 의한 먹 예술, 곧 서예를 탄생시킨....'. (109쪽 인체에 관한 문자) '....문자는 이렇게 (일련의 문화적 행위 혹은 신..

돈가스의 탄생

경양식집이란 말이 늘 궁금했었다. 돈가스는 귀하고도 어려운 음식이었다. 내 어린 날에서는. 기차를 닮은 소빵과 학교의 우유급식이 (종이 병마개의 한쪽을 때려서 뻥하고 열리는 서울우유의 병우유가) 부러웠다. 씻지 않아 땟국물이 줄줄했던 우리의 초등시절을 하야니 씻겨줄 만한 그런 우유였다. 그런 점에서 돈가스의 탄생은 제목부터 내겐 도발적이었다. '튀김옷을 입은 일본의 근대사'라는 부제가 달려있다. '우리는 결코 어느 역사가가 상상한 것처럼 고기를 잊어버린 민족이 아니었다..... 그저 다수의 사람들이 일생동안 이것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야나기타 구니오 [메이지다이쇼 역사 세상 편] '675년 덴무 일왕이 [살생과 육식을 금지하는 칙서]를 발표한 이래,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