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 그늘 아래에서 223

헤로도토스, 역사 - 부드러운 땅에서는 전쟁에 강한 남자가 나오지 않는다.

헤로도토스, 역사, 박광순 옮김, 범우사 추천하는 책이야 천병희 교수의 [역사]이겠지만, 남포집에 곧잘 들어오는 책이 아닐뿐더러, 헌책이라 해두어도 가격이 만만찮다. 해서 눈에 띄는 범우사 판을 집어든다. 이래저래 공부하기도 어려운 시절이다. 책값에서 조차. 제1권 이 책은 할리카..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1) - 모든 통치집단은 피지배자의 망각을 요구한다.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정명진 옮김, 세종서적 마지막 페이지 - 연대기적 순서를 뒤엎는 [독서의 역사] Migel de Unamuno는 어느 소네트에서 시간에 대해 "그대의 근원은 미래에 있노라"라고 노래했다. ...그처럼 나의 독서생활 역시 내가 앞서 읽었던 것들을 뛰어넘으면서 조류를 거스..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0) - 첫 페이지에 멈춘 발걸음

독서의 역사, 알베르토 망구엘, 정명진 옮김, 세종서적 책을 읽다 첫 페이지에서 멈춘다. 이 그림 탓이다. 망구엘은 이렇게 적고 있다. 연인 사이인 Paolo와 francesca. 몸을 잔뜩 웅크리고 나무 밑에 앉아서 자신들의 운명을 예고하는 시구를 읽고 있다. 파올로는 한 손으로 턱을 어루만지고 ..

하멜 표류기, 헨드릭 하멜 - 일반인은 우상 앞에서 미신을 지키지만 양반은 우상을 숭배하지 않는다

하멜 표류기, 헨드릭 하멜, 김태진 옮김, 서해문집 (1642년 갤리선 켈파르트 호가 발견하여 동인도 회사에 보고했기에 켈파르트 섬이라 불려진 제주도에) 1653년 8월 16일 64명의 선원 중 36명 만이 살아남았다. ..일본인을 만나길 바랐는데... 저녁 무렵 약 100명 정도의 무장한 남자들이 텐트 ..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 히데히로 - 곡물식물의 시중을 드는 노동 노예로서의 인간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 히데히로, 서수지 옮김, 사람과 나무사이 홍차의 세계사 (이소부치 다케시)였던가, 대단히 실망한 적이 있고 또 이런 류의 책의 한계 때문에 적잖이 망설였다. 그러나 익숙치 않은 분야이고 또 심심풀이 삼이 읽을 만할 것으로 생각되어 집어들었다. ..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2) - 오류를 범한 가능성에 있어 시대가 개인보다 더 나을 것이 없다.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서병훈 옮김, 책세상 제2장 생각과 토론의 자유 여론을 빌려 자유를 구속한다면 그것은 여론에 반해 자유를 구속하는 것만큼이나, 아니 그 보다 더 나쁜 것이다. 전체 인류 가운데 단 한 사람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은 옳지 못하다. 이것은 어떤 한 사람이 자기와 생각이 다르다고 나머지 사람 전부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만큼이나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If all mankind minus one were of one opinion, and only one person were of the contrary opinion, mankind would be no more justified in silencing that one person, th..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1)- 권력과 사회가 개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의 한계규정으로서의 자유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서병훈 옮김, 책세상 제1장 머릿말 자유와 권력의 다툼은... 과거에는...자유는 정치 지배자의 압제에서 보호 받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최고 권력자가 행사할 수 있는 힘의 한계를 규정하고자 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권력에 대해 제..

전쟁의 역사, 몽고메리 - 진정한 군인은 인간 내면의 야수를 적으로 삼는다.

전쟁의 역사, 몽고메리, 승영조 옮김, 책세상 지금 우리가 즐기고 있는 평화는 인간 내면의 야수와 싸워 얻은 평화이며, 만일 그 평화를 쟁취하고 유지한 미덕들이 상실되면 그 승리도 더는 승리가 아닐 것이다. ...평화라는 이상은 실천이라는 미덕을 동반해야 한다. 한 국가는 정신적 가..

자유론을 읽기에 앞서 - 자유라는 어휘......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서병훈 옮김, 책세상 역자 서문에서 다음 구절을 읽는다. 밀의 이 영국에서 출판(1859년)된 지 불과 13년만(1871년, 1870년판을 저본으로 번역)에 일본의 나카무라 게이우(中村敬宇)가 라는 이름으로 번역본을 내 놓았다. 그 과정에서 일본의 지식인들은 함께 모여 공부하고 토론하면서 liberty, right, society 등 생소한 영어 어휘들을 '자유', '권리', '사회' 등과 같은 일본 말로 옮겼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서양 학문 용어들이 당시 일본 지식인들이 번역과정에서 고안해낸 결과물이라고 보면 그리 틀리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 조금 늦기는 해도, 1903년 중국에서도 얀푸(嚴復)에 의해 번역서가 나왔다. (역자, 개정판을 내면서) http://d..